증평의 인물

HOME > 증평의역사 > 증평의 인물

김득신 ( 金得臣 : 1604∼1684 )

김득신(金得臣, 1604~1684)은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시인(詩人)이자 독서가(讀書家)로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 · 구석산인(龜石山人),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진주목사(晋州牧使) 김시민(金時敏)의 손자로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낸 김치(金緻)이고, 어머니는 사천(泗川) 목씨(木氏)이다.

『임오식년사마방목(壬午式年司馬榜目)』에 의하면, 인조 20년(1642) 식년시 진사에 3등 81인으로 합격했다. 이후 음보(蔭補)로 참봉(參奉)이 됐다. 현종 3년(166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악원정(掌樂院正) · 지제교(知製敎) 등을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 안풍군(安豊君)에 봉해졌다.

아버지의 가르침을 받아 당대 시인으로 이름을 떨쳤는데, 신흠(申欽) · 이정구(李廷龜) · 장유(張維)와 함께 한문 4대가(四大家) 중 한 사람인 택당(澤堂) 이식(李植)으로부터 "당금(當今)의 제일(第一)"이라는 평가를 받았으며, 효종은 그의 “용호(龍湖), 한강(漢江)” 시를 보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선현의 글을 읽는데 힘썼으며, 『사기(史記)』의 「백이전(伯夷傳)」을 1억 1만 3천 번을 읽고 그의 서재(書齋) 이름을 “억만재(億萬齋)”라 했다. 저서로 『백곡집(栢谷集)』 · 『종남총지(終南叢誌)』가 있다.

참고문헌 : 증평군지 제4편 성씨와 인물

김득신 묘(金得臣 墓)
소재지 증평군 증평읍 율리 산 8-1
규모 봉분 높이 1.6m 묘지둘레 20m
조성시기 1688년 8월
지정번호 증평군지정문화재(향토유적)
제6호(2004. 4. 30 지정)
김득신의 묘소는 증평읍 사무소에서 청안 방면으로 가다 증천교 앞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청원군 초정 방면의 503번 지방도를 따라 좌구산(座龜山) 제일문(第一門)을 지나 3.5㎞쯤 가면 율리 마을회관이 있는데 이 마을 뒷산에 위치하고 있다.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의 최고봉 좌구산 자락에 만장(挽章)이 잡아준 명당이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남봉(南峯) 김치(金緻, 1577~1625)와 그의 아들 백곡 김득신이 묻힌 곳이다. 이 묘지 터는 구전(口傳)에 의하면 김치의 상여가 좌구산과 구녀산 사이로 난 분젓치(옛 영남통로)를 넘어 한양으로 가던 중 갑자기 바람이 세게 불어 상여의 만장이 날아가서 이곳에 떨어지자 명당이라고 생각한 후손들이 이 자리에 묘를 썼다고 한다. 김득신 묘의 봉분은 높이 1.6m이고 묘지 둘레는 20m이다. 봉분 앞에는 상석과 묘비석, 동자석이 놓여있다.

김득신의 유적으로는 괴산읍 능촌리 괴강(槐江)가에 취묵당(醉墨堂)이 있으며, 이곳에 걸려 있는 ‘독수기(讀數記)’에 따르면, 「백이전(伯夷傳)」, 「노자전(老子傳)」, 「사설(師說)」 등 고문(古文) 36편을 1만 번 이상 읽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