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평의 지명

HOME > 증평의역사 > 증평의 지명

증평읍

구상마을과 연정마을사람들이 한 마을을 이루고 살아가는곳

덕상리 (德祥里)

[ 연혁 ]

덕상리(德祥里)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남면(南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남면에 27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덕상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구소리(九素里)ㆍ연정리(淵井里)ㆍ작동리(鵲洞里)ㆍ탄치리(炭峙里) 등 4개리가 있었다. 그 뒤 덕상리는 건양(建陽) 원년(1895)에 청안현(淸安縣)이 청안군(淸安郡)으로 승격되면서 청안군의 6개면인 읍내면(邑內面)ㆍ동면(東面)ㆍ남면(南面)ㆍ북면(北面)ㆍ서면(西面)ㆍ근서면(近西面) 중에서 남면(南面)에 속하는 지역이 되었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 당시 청안군 남면은 25개리를 관할하고 있었다. 그 사이 연정리(淵井里)가 연정리(淵亭里)로 변경되었으며, 구소리(九素里)가 없어지고, 구상리(九祥里)ㆍ덕령리(德令里)ㆍ정복리(正福里)ㆍ장봉리(獐峯里)가 새로 생겼다.1914년에 일본제국주의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증평면(曾坪面)은 11개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1917)에 따르면, 덕상리는 남면 장봉리(獐峯里)ㆍ정복리(正福里)ㆍ덕령리(德令里)ㆍ구상리(九祥里)ㆍ연정리(淵亭里)ㆍ작동(鵲洞)ㆍ탄치리(炭峙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만들었다. 이때 덕령리와 구상리의 이름을 따서 덕상리라 하고, 괴산군 증평면에 편입하였다.1990년 12월 31일에 지방자치법 제106조 및 충청북도조례 제1864호에 의거하여 괴산군 증평읍에서 충청북도증평출장소(忠淸北道曾坪出張所)로 바뀔 때, 덕상리는 증천지소(曾川支所) 관할이었다. 2003년 5월 29일에 법률 제6902호 「증평군 설치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부칙에 따라 3개월 뒤인 2003년 8월 30일에 증평군(曾坪郡)이 공식 설치되어 증평군 증평읍 덕상리가 되었다.

[ 유래 ]

덕상리는 1914년에 덕령리와 구상리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덕상리는 증평읍사무소에서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2010년 5월 현재 550세대에 788명이 거주하고 있다.

  • 덕상1리(德祥一里) : ㆍ구억말/구상리(九祥里) : ‘덕령’[덕상3리] 남쪽 구석에 있는 마을이다. ‘구억말’은 ‘구석말’의 변화형이다. ‘구석’의 중세국어 어형은 ‘구?’인데, 여기서 ‘?’이 탈락하여 ‘구억’이 된 것이다. 지명에서 ‘구억말’은 ‘궝말’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구억’이 모음축약에 의해 ‘궉’이 된 후 ‘궉’의 ‘ㄱ’이 ‘말’의 ‘ㅁ’ 앞에서 비음화하여 ‘궝’이 된 것이다. 즉 ‘구?>구억>궉>궝’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구억말’이나 ‘궝말’은 모두 ‘구석에 있는 마을’로 풀이된다. 이 마을은 『호구총수』(정조 13년, 1789)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 ‘구상(九祥)’으로 나타난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九祥/구억말’로 기록되어 있다. ‘구상리’는 한자의 뜻에 맞추어, ‘상서(祥瑞)로움이 많아 살기 좋은 마을’로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근거 없는 설명이다. ‘구억말’의 고어형인 ‘구?말’에서 ‘구?’은 음차(音借)하여 ‘구상(九祥)’으로, ‘말’은 훈차(訓借)하여 ‘이(里)’로 표현한 것이 ‘구상리(九祥里)’이다. ㆍ된저리/연정(淵亭) : ‘구억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호구총수』(정조 13년, 1789)에는 ‘연정리(淵井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연정(淵亭)’으로 바뀌어 기록되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淵亭/된뎔리’로 기록되어 있다. ‘된뎔리’로 볼 때, ‘된저리’는 ‘된절이’의 연음 어형이다. ‘된절이’는 ‘된절’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이고, ‘된절’은 ‘된’과 ‘절’로 나뉜다. ‘된’은 접두사로, ‘아주 심한’의 뜻이고, ‘절’은 ‘절[寺]’이다. 그렇다면 ‘된절이’는 ‘오르기에 아주 심하게 어려운 절이 있는 곳’으로 풀이된다. 달리 ‘연정’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예전에 큰 연못과 정자가 있어 붙은 이름으로 추정된다. 감나무골/감낭골 : ‘구상리’와 ‘된저리’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구억말’에서는 남쪽, ‘된저리’에서는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감나무골’은 커서 들어가면서 있는 골짜기가 ‘안감나무골’이고, 뒤에 있는 골짜기가 ‘바깥감나무골’이다. ‘감나무골’은 ‘감나무’와 ‘골’로 나뉘며, ‘감나무가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달리 ‘감낭골’로도 불리는데, 이는 ‘감나무골’의 방언형인 ‘감낭구골’에서 ‘구’가 생략된 어형이다. 따라서 그 뜻은 ‘감나무골’과 같다. 구상보(九祥洑) : ‘구상리’ 서쪽 삼기천에 있는 보이다. ‘구상보’는 ‘구상’과 ‘보’로 나뉘며, ‘구상리에 있는 보’로 풀이된다. 이 보는 ‘구상앞들’에 농업용수를 공급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구상앞들(九祥-) : ‘구상리’ 앞[서쪽]에 있는 들이다. ‘구상앞들’은 ‘구상’과 ‘앞들’로 나뉘며, ‘구상리 앞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이 들은 삼기천과 닿아 있다.깨밭골 : ‘구상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깨밭골’은 ‘깨밭’과 ‘골’로 나뉘며, ‘깨밭이 많은 골짜기’로 풀이된다. 선반드리들 : ‘구상리’ 북동쪽에 있는 들이다. ‘선반드리들’은 ‘선반드리’와 ‘들’로, ‘선반드리’는 다시 ‘선반’과 ‘드리’로 나뉜다. 여기서 ‘드리’는 ‘들[野]’을 뜻한다. ‘들’은 지역에 따라서는 ‘달’ㆍ‘다리’ㆍ‘더리’ㆍ‘드리’로 실현된다. 실제로 ‘방아다리’ㆍ‘방아달’이 ‘방아들’이 함께 쓰이는 곳이 있다. 이런 예들은 ‘방아달’ㆍ‘방아다리’의 ‘달’ㆍ‘다리’가 ‘들’에서 변한 것이라는 사실을 말해 준다. 또 ‘방아더리’ㆍ‘방아드리’가 ‘방아들’과 함께 쓰이는 곳이 있다. 이런 예는 ‘방아더리’ㆍ‘방아드리’의 ‘더리’ㆍ‘드리’가 ‘들’에서 변한 것이라는 사실을 말해 준다. 이상의 설명에서, ‘들’에서 모음이 바뀌면 ‘달’이 되고, ‘들’에 접미사 ‘이’가 결합되면 ‘드리’가 된다. 그리고 ‘드리’의 모음 ‘으’가 ‘아’ㆍ‘어’로 바뀌면 ‘다리’ㆍ‘더리’가 된다. 따라서 ‘들>달’, ‘들>드리>다리ㆍ더리’의 변화 과정을 상정할 수 있다. 본 예 ‘선반드리’는 ‘선반 모양으로 생긴 들’로 풀이된다. 다만 ‘드리’가 ‘들’의 뜻인지 모르고 다시 ‘들’을 덧붙인 일종의 유의중복 어형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선반’은 ‘물건을 얹어두기 위하여 까치발을 받쳐서 벽에 달아놓은 긴 널빤지’를 말한다. 솔고개골 : ‘된저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된저리’에서 남차2리 ‘새터’로 넘어가는 길목이다. ‘솔고개골’은 ‘솔고개’와 ‘골’로, ‘솔고개’는 다시 ‘솔’과 ‘고개’로 나뉜다. 따라서 ‘솔고개골’은 ‘소나무가 우거진 고개 가까이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2003년 11월에 이곳에 묻혀 있던 ‘정수명영세불망비(鄭洙明永世不忘碑)’가 발견되었다. 오목들 : ‘구상리’ 동쪽에 있는 들이다. ‘오목들’은 ‘오목’과 ‘들’로 나뉘며, ‘가운데가 둥그스름하게 푹 패거나 들어간 모양의 들’로 풀이된다. 탁고개[塔-] : ‘구상리’에서 ‘정복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현재도 비포장 소로길이다. ‘탁고개’는 ‘탑고개’의 연구개음화 어형이다. ‘탑고개’는 ‘탑’과 ‘고개’로 나뉘며, ‘탑이 있는 고개’로 풀이된다.
  • 덕상2리(德祥二里) :ㆍ까치골1/작동(鵲洞) : 덕상2리 ‘노루봉골’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호구총수』(정조 13년, 1789)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 ‘작동(鵲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鵲洞/?차골’로 기록되어 있다. ‘까치골1’[마을]은 ‘까치골2’[골짜기]에 있어 붙은 이름이다. 골짜기 이름이 마을 이름으로 쓰인 예이다. 이 마을은 달리 ‘작동(鵲洞)’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까치골’의 ‘까치’를 조류(鳥類)로 이해하여 한자로 잘못 표기한 이름이다. ㆍ노루봉골(-峰-)/장봉(獐峰) : ‘까치골1’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장봉(獐峰)’으로 불리던 곳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도 ‘獐峰/노루봉골’로 기록되어 있다. 마을 뒤[북쪽]에 있는 산이 ‘노루봉’이고, 이 산 때문에 마을 이름 ‘노루봉골’이 생겼다. 이 마을은 6ㆍ25 때 피난처였다. 그래서 붙은 이름이 ‘피난꼬지’이다. ‘피난꼬지’는 ‘피난곶이’의 변화형이다. ‘피난곶이’는 ‘피난곶’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이다. ‘피난곶’은 ‘피난’과 ‘곶’으로 나뉜다. ‘곶’의 원 의미는 ‘바다나 호수로 뾰족하게 내민 땅[串ㆍ岬]’이다. 그러나 지명에서 흔히 ‘들판 쪽으로 산등성이가 쭉 뻗어 나온 곳’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피난꼬지‘는 ‘들판 쪽으로 쭉 뻗어 나온 산등성이로 되어 있는 피난처’로 풀이된다. 곶으로 된 지형은, U자형으로 삼면이 막혀 있으면서 양쪽 면이 길게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이런 곳을 택해 피난처를 삼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곶’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용강2리 ‘꽃산구링이’를 참고하기 바란다. 까치골2 : ‘까치골1’[마을]이 있는 골짜기로, 마을 북쪽으로 들어가 있다. ‘까치골’은 ‘까치’와 ‘골’로 나뉜다. ‘까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까치’를 ‘아치[小]’의 변화형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때 ‘아치’는 ‘작은’의 뜻이다. 이 견해는 지명의 전부요소로 등장하는 ‘까치’ 중에는 ‘아치’로부터 변형된 것이 많다는 점에서 주장된 설이다. 그렇다면 ‘까치골’은 '작은 골짜기'로 풀이된다. 다른 하나는 ‘까치’를 ‘가지[枝]’의 변형으로 보는 견해이다. 그렇다면 ‘까치골’은 ‘여러 방향으로 갈라지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골짜기의 모양이 어원 해석에 도움일 될 것인데, 현재는 지형이 많이 변해 어느 쪽으로 단정 짓기가 어렵다. 그러나 조류 ‘까치[鵲]’ 관련되지 않는 점은 분명하다. ‘까치골1’[마을]은 이 골짜기 이름에서 비롯되었다.노루봉(-峰) : ‘노루봉골’ 뒤[북쪽]에 있는 산이다. ‘노루봉’은 ‘놀봉’에 소급한다. ‘놀봉’에 조음소 ‘으’가 개재되어 ‘노르봉’이 되고, 제2음절 모음이 변하여 ‘노루봉’이 된 것이다. 최초의 어형 ‘놀봉’은 ‘놀’과 ‘봉’으로 나뉜다. ‘놀’은 형용사 ‘놀다[延]’의 어간이니, ‘놀봉’ 또는 ‘노루봉’은 ‘길게 늘어진 산봉우리’로 풀이된다. 따라서 ‘노루봉골’은 ‘길게 늘어진 산봉우리에 있는 골짜기’를 뜻한다. ‘장봉’은 ‘노루봉’의 원 의미를 잘못 알고 동물 ‘노루[獐]’와 관련시킨 이름이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마을의 산형(山形)이 노루의 머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이름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마을에서는 절대 노루는 잡지 않는다고도 한다. 말랑골 : ‘까치골1’[마을] 북서쪽에 있는 들로, 삼기천 가에 있다. ‘말랑골’은 ‘말랑’과 ‘골’로 나뉜다. ‘말랑’은 일찍부터 지명에 사용된 ‘마루’의 변화형이다. ‘마루’는 ‘고(高)’를 뜻하는 백제어 ‘毛良’[*모랑]이나 중세국어 ‘??[宗]’와 관련된다. 지명의 후부요소로서 ‘마루’는 ‘마루’ 외에 ‘말’ㆍ‘마리’ㆍ‘말양’ㆍ‘말랑’ㆍ‘말랑이’ㆍ‘날망’으로 나타나는데, ‘평지보다 약간 높으면서 평평한 곳’을 가리킨다. 그리고 한자로는 ‘지(旨)’ㆍ‘간(幹)’이 대응된다. 한편 ‘말랑’은 후부요소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부요소로도 적극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때에는 ‘넓은’ㆍ‘큰’ㆍ‘높은’ㆍ‘으뜸인’의 뜻을 지닌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말랑골’은 ‘높으면서 평평한 곳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마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증평읍 연탄3리 ‘쇠마루/금헌(金軒)/새터’를 참고하기 바란다.망월재(望月-)/망우재[望月-] : ‘까치골1’[마을] 동쪽에 있는 산이다. 안동김씨와 전주이씨 종산이 있다. ‘망월재’는 ‘망월’과 ‘재’로 나뉜다. ‘망월’은 ‘달을 바라봄’을 뜻하고 ‘재’는 ‘고개’를 뜻하니, ‘망월재’는 ‘달을 바라보는 고개’로 풀이된다. 이 고개는 달리 ‘망우재’로도 불린다. ‘망우재’는 ‘망우’와 ‘재’로 나뉜다. ‘망우’는 ‘달집태우기’ 또는 ‘달집사르기’를 뜻하는 ‘망월굿(望月-)’의 변화형이다. ‘달집태우기’ 또는 ‘달집사르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에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풍속’을 뜻한다. 달집이 훨훨 타야만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한다. 그 해 액운이 든 사람의 저고리 동정이나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붙여 함께 태우기도 한다. 그렇다면 ‘망우재골’은 ‘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오를 때에 달집에 불을 지르며 노는 고개’로 풀이된다. 멍에자리 : ‘노루봉골’ 동쪽에 있는 들이다. ‘멍에자리’는 ‘멍에’와 ‘자리’로 나뉜다. ‘멍에’는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마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를 뜻한다. 따라서 ‘멍에자리’는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마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 모양으로 생긴 자리’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곳은 소의 멍에처럼 생겼다.서당골(書堂-) : ‘망월재’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서당골’은 ‘서당’과 ‘골’로 나뉘며, ‘서당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 덕상3리(德祥三里) : ㆍ덕령(德令) : ‘구억말’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덕령(德令)’으로 불리던 곳이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고유지명은 없이 ‘德令’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주민들의 전언에 따르면, 용의 혜택을 받은 마을이라서 ‘덕룡(德龍)’으로 부르다가 ‘덕령’으로 와전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덕령’과 ‘덕재’과 병용되는 곳이 있다. ‘덕재’는 ‘덕’과 ‘재’로 나뉘며, ‘큰 고개’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덕령’은 ‘덕령(德嶺)’으로, 큰 고개 밑에 있어 붙은 이름으로 볼 수 있다. ㆍ양지말(陽地-)/양촌(陽村) : ‘덕령’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양지말’은 ‘양지’와 ‘말’로 나뉘며, ‘양지쪽에 있는 마을’로 풀이된다. 달리 ‘양촌’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양지말’과 같은 뜻이다. ㆍ정복골(正福-)/정복동(正福洞) : ‘덕령’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주민들의 전언에 따르면, ‘정복골’은 복이 많이 들어온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달리 ‘정복동’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정복골’과 같은 뜻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도 ‘정복동(正福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1914년 이전)에는 고유지명은 없이 ‘正福洞’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대바우[大-] : ‘덕령’ 북쪽, ‘지리들’ 옆 개울[삼기천]에 붙어있는 너른 바위이다. 보이는 것보다 묻혀 있는 부분이 더 넓다. ‘대바우’는 ‘대’와 ‘바우’로 나뉘며, ‘큰 바위’로 풀이된다.동명골(東明-) : ‘덕령’ 동쪽, 13공수부대 영내에 있는 골짜기이다. ‘동명골’은 ‘동명’과 ‘골’로 나뉜다. 여기서 ‘동명’의 뜻은 확실하지 않으나 ‘동명(東明)’으로 보아, ‘동명골’은 ‘동쪽에서 떠오르는 햇빛이 밝은 골짜기’로 풀이된다. 막작골[幕-] : ‘덕령’ 동쪽, 13공수부대 사격장이 있는 골짜기이다. ‘막작골’은 ‘막잣골’의 변화형이다. 즉 ‘막잣골’은이 미파화에 의해 ‘막잗골’이 되고, 다시 연구개음화에 의해 ‘막작골’로 실현된 것이다. ‘막잣골’은 ‘막’과 ‘잣골’로, ‘잣골’은 ‘잣’과 ‘골’로 나뉜다. ‘막’은 ‘임시로 간단하게 꾸민 집’을 뜻하고, ‘잣’은 ‘성(城)’을 말한다. ‘잣’은 정음 문헌에 처음으로 보이기 시작한 어휘지만, 일찍이 신라어계로 추정되어 왔다. 고대일본어에 ‘자시[城]’가 보이는데, 이것은 ‘고포리[城]’와 함께 신라어 차용어일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막잣골’은 ‘임시로 지은 집이 있는, 성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묵은골 : ‘덕령’ 동쪽, 13공수부대 영내에 있는 골짜기이다. ‘묵은골’은 ‘묵은’과 ‘골’로 나뉜다. ‘묵은’은 ‘묵다’의 관형사형이니, ‘묵은골’은 ‘경작되지 않아서 그대로 남아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예전에 이곳은 천수답이어서 가뭄이 들면 그대로 묵는 일이 많았다. 샘골 : ‘덕령’ 동쪽, ‘독도도예’ 부근에 있는 골짜기이다. ‘샘골’은 ‘샘’과 ‘골’로 나뉘며, ‘샘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찬샘’에서 물이 나와 부근 논의 농업용수로 이용한다. 수박골 : ‘덕령’ 북서쪽, ‘진골’ 위에 있는 골짜기이다. 삼기천과 닿아 있다. ‘수박골’은 ‘수박’과 ‘골’로 나뉜다. ‘수박’은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전부요소로, 다양하게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수박’으로 보아, ‘수박골’은 ‘수박처럼 둥글게 생긴 골짜기’로 풀이된다. 둘째는 ‘숲밭’의 변화형으로 보아, ‘수박골’은 ‘숲으로 이루어진 골짜기’로 풀이된다. 셋째는 ‘숲밖’의 변화형으로 보아, ‘수박골’은 ‘숲 밖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안까치골/내작동(內鵲洞) : ‘까치골’에서 동쪽으로 1km 정도 지점에 있는 들이다. ‘안까치골’은 ‘안’과 ‘까치골’로 나뉘며, ‘까치골 안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달리 ‘내작동(內鵲洞)’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까치골’의 ‘까치’를 조류(鳥類)로 이해하여 한자로 잘못 표기한 이름이다. 앞개울 : ‘양지말’과 ‘정복골’ 앞에 흐르는 개울이다. 마을 앞을 흐르기에 붙은 이름이다. 그러나 ‘덕령’에서는 ‘뒷개울’로 부른다. ‘대바위’에서 삼기천과 합류한다. 엉고개 : ‘덕령’ 북동쪽에 있는 고개이다. ‘덕령’에서 괴산군 청안면 금신3리로 넘어 가는 고개이나 현재는 이용하지 않는다. ‘엉고개’는 ‘엉’과 ‘고개’로 나뉜다. 여기서 ‘엉’은 두 가지로 다르게 풀이된다. 첫째는, ‘엉’을 ‘낭떠러지’의 방언형 ‘엉’으로 보는 견해이다. 따라서 ‘엉고개’는 ‘낭떠러지가 있는 고개’가 된다. 둘째는, ‘엉’을 ‘어은’의 변화형으로 보는 견해이다. ‘어은고개’에서 ‘ㅡ’가 생략되어 ‘언고개’로, ‘언고개’가 연구개음화에 의해 ‘엉고개’로 될 수 있다. 그런데 ‘어은’의 어원은 분명하지 않다. ‘어은골’이 대부분 ‘은골’과 함께 쓰임을 볼 때, ‘엉고개’ 또한 ‘은고개’와 대응시킬 수 있다. 그렇다면 ‘엉고개’는 ‘숨은 고개’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엉고개’는 그 자체를 원형으로 보아 ‘낭떠러지 고개’로 볼 수도 있고, ‘어은고개골’의 변화형으로 보아 ‘숨은 고개’로 볼 수도 있다. 지리들 : ‘덕령’ 북쪽, 덕상교와 정복교 사이에 있는 들이다. ‘지리들’은 ‘지리’와 ‘들’로 나뉜다. 여기서 ‘지리’는 동사 ‘지르다[어떤 길이나 장소를 돌거나 하지 않고 목적한 곳에 곧바로 이를 수 있게 움직이다]’의 부사형 ‘질러’의 변화형이다. 따라서 ‘지리들’은 ‘질러가는 곳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진골 : ‘덕령’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진골’은 ‘긴골’의 구개음화형이다. ‘긴골’은 ‘긴’과 ‘골’로 나뉘며, ‘길이가 긴 골짜기’로 풀이된다. 찬샘 : ‘덕령’ 동쪽, ‘독도도예’ 부근의 논에 있는 샘이다. ‘찬샘’은 물이 차다고 해서 붙은 이름으로, 비가 오나 가물거나 수량은 큰 차이가 없다. ‘찬샘’이 있는 들을 ‘샘골’로 부른다. 통리들(桶里-) : ‘덕령’ 동쪽, ‘찬샘’이 있는 들이다. ‘통리들’은 ‘통리’와 ‘들’로, ‘통리’는 다시 ‘통(桶)’과 ‘리(里)’로 나뉜다. 여기서 ‘통(桶)’은 ‘어떤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나무ㆍ금속ㆍ플라스틱 등으로 깊이가 있게 만든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통리들’은 ‘통을 엎어 놓은 듯 동그랗게 생긴 곳에 있는 들’로 풀이된다. ‘통리’는 흔한 지명 중 하나인 ‘통골’과 거의 같은 뜻이다. 해맞이고개 : ‘정복동’에서 괴산군 청안면 금신3리로 넘어 가는 고개로, 13공수부대 앞쪽이다. 예전에 청주목에서 청안현을 경유해 괴산군으로 왕래하는 큰 길이었고, 이 길을 따라 많은 사람과 보부상이 다녔다고 한다. 현재 이 고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해맞이고개’는 증평읍에서 괴산군 청안면(淸安面)으로 향하는 첫 고개로, 고개 꼭대기에 올라서면 해가 뜨는 것이 보여 붙은 이름이다. 이 고개에서 의병장 한봉수는 대승을 거두었다. 1910년을 전후하여 초정 지역을 본거지로 삼았던 의병장 한봉수(韓鳳洙)는 청안을 점령하고 청주로 진격하는 일본군에 맞서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일본군은 신식무기로 무장하였기 때문에 의병들의 하찮은 무기로 연이어 맞선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에 한봉수는 ‘해맞이고개’에서 매복했다가 급습하는 게릴라전을 택해 전열을 가다듬었다. 그러나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수의 증원 병력이 한봉수가 이끄는 의병을 초토화하기 위해 진격을 가한다는 전갈을 받았다. 어떻게든 전면전을 피해야 했다. 그래서 묘안을 떠올린 것이 벌떼를 이용한 공격이었다. 한봉수는 ‘해맞이고개’ 곳곳에 벌통을 숨겨놓았다. 일본군은 그것이 벌통인지도 모르고 진격에 방해가 된다고 해서 함부로 치우려 했다. 그러자 벌떼가 일본군을 향해 마구 달려들었다. 느닷없는 벌떼의 급습에 당황한 일본군은 전열이 순식간에 흐트러졌다. 이 틈에 한봉수와 의병들은 일본군을 향해 진격을 했고, 전례 없는 대승을 거두었다(증평향토문화연구회, 2004 ).

[ 문화재 ]

정수명영세불망비(鄭洙明永世不忘碑) : 덕상1리 산102번지에 있는 비로, 1679년에 세웠다. 크기는 110cm×30cm×170cm이다. 원문 내용은 “현감정후수명영세불망비기미십이월일(縣監鄭侯洙明永世不忘碑己未十二月日)”로 되어 있다. 이 비는 덕상1리 이장 이종관 씨에 의해 덕상1리 ‘솔고개골’에서 2003년 11월에 발견되었다. 정수명은 음관 출신으로, 숙종 4년(1678) 1월 21일에 부임하여 이듬해 11월까지 1년 10개월간 청안현감에 재임하였다. ‘기미 12월’은 1679년 12월로, 정수명이 사직한 직후에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증평군기념물 제14호로 지정되었다.

[ 민속자료 ]

백로서식지(白鷺棲息地) : ‘노루봉’ 끝자락에 ‘대바우’가 있는데, 이 부근 소나무 숲에 백로서식지가 있다. 이 지역은 삼기천 가로, 서식환경이 우수해 번식기에는 수백 마리가 모여든다. 백로는 키가 30~140㎝정도로 종에따라 차이가 크다 모은 작으데 비해 머리와 다리가 매우길다날개는 발달했고 날개면적은 몸무게에 비하여 크며 날개를 서서히 흔들어 날수 있다꼬리는 작다 다리가 긴 다른 새와 같이 날때에 다리를 뒤로 뻗는 것은 꼬리를 대신하여 중심을 배분하는 것으로 생가된다날때와 내릴때에는 목을 신축하여 중신의 이동을 조절한다빛깔은 암수가 비슷하며 백색.갈색.회색.청색.등이있고 반문이 있는것도 있다백로는 물고기를 잡아먹고,물고기 이외에도 가재.개구리.곤충등을 먹는다 해안부근의 삼림.소택지.갈대밭등에서 서식한다 대개 무리를 지어 번식하며 먹이를 구할때는 단독으로 행동한다 대부분 새벽이나 저녁무렵에 활동하나 야행성인것도 있다둥우리는 보통 나뭇가지를 쌓아 조잡하게 짓고 그곳에 청록색 또는 백색의 알을 3~7개 낳는다영소.포란.육추 등은 암수가 함께 하며 포란기간은 17~18일 정도이다새끼는 어미가 토해낸 먹이로 기르며 부화에서 이소까지는 대형종이 60일 ,소형종이 20~25일이다보통 늪지대의 생물계에서 물고기를 통해 먹이연쇄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덕상리의 백로서식지는 아직 증평지역의 자연환경이 오염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우리는 백로가 살 수 있는 깨끗한 자연환경을 소중히 가꾸어나가야 할 것이다.